본 사이트는 [회원가입]을 하신 후에 내용들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하루 정도 기다리시면 정식회원으로 등록해 드리며 모든 내용을 다 보실 수 있습니다. 

사역의 특성상, 불가피한 절차임을 이해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drcharleshong@gmail.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오늘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충만하시기를  기도 드립니다. 

Shalom aleikhem !

שָׁלוֹם עֲלֵיכֶם


 auto
 
작성일 : 22-08-19 18:03
위기에 처한 ‘성경’...2-1
인쇄
 글쓴이 : 창암
조회 : 511  

교회 타락의 근본 원인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최종 법칙인 성경에서 멀어졌기 때문

기독교 신앙의 근본적인 특징은 “계시 의존적 신앙”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을 섬기는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있어 가장 근본적이고 최종적인 권위는 목회자에게 있는 것도 아니고, 교회 조직에 있는 것도 아니며, 오직 성경에 있다.

왜냐하면 성경은 신자들이 신뢰하고 순종해야 하는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이기 때문이다. 물론 목회자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가르치는 귀한 직분을 맡은 선생이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나 하나님의 말씀을 빙자한 사람의 교훈으로 성도들을 미혹하는 거짓 선생들이 존재해 왔다 (벧후 2:1). 또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주님의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그리고 성령의 전으로 세워져 가고 있는 영적인 공동체이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나 하나님의 말씀을 버리고 세상의 교훈을 따라감으로, 훗날 “네가 살았다 하는 이름은 가졌으나 죽은 자로다”라는 책망을 받을 교회들이 존재해 왔다 (계 3:1). 따라서 신자에게 있어서, 오직 성경만이 성령의 영감으로 주어진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권위를 가지며, 오직 성경만이 성도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칙이요, 최종적인 법칙이다. (딤후 3:16-17, 벧후 1:19-21, 엡 2:20, 눅 16:29,31, 계 22:18-19 등).

기독교 역사를 살펴보면 모든 시대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칙이요 최종적인 법칙으로 받아서 그 권위 아래 순복할 것인가, 아니면 그 권위를 부인할 것인가 하는 영적 전쟁이 계속 되어 왔다. 실제로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 오늘날까지 교회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영적 전쟁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영적 전쟁에서 승리하면 교회와 기독교 신앙은 영적인 부흥기를 맞이하였고, 이 영적인 전쟁에서 실패하면 교회는 영적인 쇠퇴기로 들어갔다.

중세 후기의 교회가 교리적으로 부패하고 도덕적으로 윤리적으로 타락하게 된 것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교회가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칙이요, 최종적인 법칙인 성경으로부터 멀어졌기 때문이다. 당시의 모든 교회는 로마제국의 언어라고 할 수 있는 라틴어로 번역된 “불가타”(vulgata) 성경만을 사용해야 했다. 그것도 성직자들에게만 그 성경이 허락되었고, 라틴어 외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평범한 사람들은 읽을 수도 없고, 이해할 수도 없는 암호같은 라틴어로 된 성경만을 사용하므로, 중세 시대의 교인들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교훈으로부터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 시대를 살아가는 교인들의 신앙적인 권위와 확신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유한하고 불완전한 사람들이 전한 종교적인 전승이나 종교회의나 로마 교황의 가르침이었다. 그 결과 중세 말기 교회의 모습은 성경을 떠난 종교가 보여 줄 수 있는 온갖 타락과 부패함의 온상이었다.

이를 치유하고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교회가 성도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칙이요, 최종적인 법칙인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이것을 인식한 믿음의 선각자들의 노력의 여명을 연 사람은 “종교개혁의 새벽별”이라 불리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수면서 신학자였던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1384)였다. 그는 당시 “교황이 행사하던 최고의 권위는 성경이 가져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라틴어로 된 성서를 최초로 영어로 번역하여 영국 국민이 자국어로 된 성경을 읽을 수 있게 했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 열린 콘스탄츠 공의회 (Konstazer Konzil, 1414~1418)에서, 존 위클리프는 라틴어로 된 “불가타”(vulgata)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였다는 죄목으로 이단 판결을 받게 되었고, 그의 저작은 불태워졌으며, 그의 시체는 부관참시되어 뼈까지 불태워졌다.

위클리프뿐만 아니라 보헤미아 (체코) 지방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하여 “종교개혁의 아버지”라고 불리운 “얀 후스”(Jan Huss, 1369~1415)도 “교회의 머리는 교황이 아니라 그리스도이며, 성경이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주장했다. 얀 후스는 보헤미아인을 위해서 라틴어 성경을 모국어로 번역했고, 특별히 자국민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모국어로 설교했다. 그러나 그 역시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소집된 콘스탄츠 공의회 (Konstazer Konzil, 1414~1418)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어 화형당했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로마 교황청의 위협과 금지에도 불구하고, 자국민이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일과,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교하고자 하는 노력들은, 훗날 중세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개혁하려는 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중세 교회의 교리적 부패와 도덕적 윤리적 타락에 과감히 맞서 16세기 교회 개혁의 불길을 일으킨 사람은 독일의 마틴 루터 (Martin Luther, 1483-1546)였다. 원어 성경 연구를 통해서, 당시 로마 교회와 교황의 가르침이 성경의 교훈과 다르다는 것을 깨달은 루터는,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의 “만성 교회” (All Saints’ Church) 교회당 문에 “95개 논제”(95 Theses)를 게시함으로 종교개혁의 불꽃을 일으켰다. 루터는 1518년 로마 교황청을 대표하는 추기경 토마스 카제탄 (Thomas Cajetan)과의 논쟁에서, “로마 교황보다 공의회의 권위가 더 높으나 모든 인간은 오류를 범할 수 있으므로 기독교 신앙의 최종적인 권위는 교회가 아닌, 성경이 가진다”라고 했다. 이처럼 “오직 교회!”가 아니라 “오직 성경!”을 외쳤던 마틴 루터 역시, 원어 성경을 자국어인 독일어로 번역하였고, 비로소 독일 기독교인들은 교회와 성직자들의 지배에서 벗어나 누구나 자유롭게 성경을 읽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오직 성경”을 외치며 중세 교회의 부패와 타락으로부터 교회를 회복하고 개혁하려는 시도는 바다 건너 영국에서도 일어났다. 특별히 14세기 말 이후 영국 옥스퍼드(Oxford), 레스터(Leicester), 노리치(Norwich) 등의 지역에는 “중얼거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롤라드”(Lollards) 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성경을 신앙과 삶의 최고의 권위로 고백했던 그들은, 최초로 성경의 영어 번역을 추진했던 “존 위클리프” (John Wycliffe)의 추종자들이었다. 당시 개인의 성경 소지가 금지된 상황 속에서 성경을 읽을 수 없었던 사람들을 위해, 그들은 성경을 외워 가지고 광장에 나가 성경 말씀을 선포했다.

대표적인 “롤라드”는, 위클리프의 성경 번역을 도왔던 “니콜라스 히어포드”(Nicholas of Hereford, d. 1420)라고 알려지는데, 그는 1382년 그리스도의 승천 기념일에 영어로 성경 말씀을 선포하여, 영국 전역에 하나님의 말씀을 보통 사람들에게 전하는 롤라드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로마 교회는 이들을 이단으로 단죄하고 잡아들여 목숨을 빼앗았다. 1401년 이교도 화형을 승인하는 잉글랜드 법이 최초로 통과되면서 “윌리엄 소트레이” (William Sawtrey, d. 1401)가 화형을 당해 롤라드파의 첫 번째 순교자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롤라드 신앙 운동은 영국 사회의 저변으로 확대되었고, 다가오는 영국의 교회개혁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16세기 영국에서 성경을 신앙과 행위의 최고의 권위로 여기며, 비성경적인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개혁하려는 운동의 불꽃을 본격적으로 지핀 사람은, “영어 성경의 아버지” (Father of the English Bible) 라고 불리는 “윌리엄 틴들”(William Tyndale, 1494-1536)이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이 사람들의 눈에서 가려진 것이 교회 내의 모든 불행의 원인이며, 성경 없이는 사람들을 진리 안에 굳게 세우는 것이나, 진리를 깨닫고 확신을 갖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깨달았다. 히브리어와 헬라어에 능통했던 그는 자신이 원어 성경을 읽으면서 받았던 은혜를, 일반 교인들도 받을 수 있도록 성경 번역을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국왕인 헨리 8세와 교회 성직자들의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그는 “하나님께서 저의 생명을 연장시켜 주신다면, 쟁기를 가는 소년이 당신들보다 더 성경을 알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상대적으로 성경 번역의 자유가 보장된 독일로 건너갔다. 독일에서 그는 루터의 도움을 받으며 최초로 신약 성경의 영어 번역을 완성하여 1526년에 출판했다. 그 후 벨기에로 이주한 그는 계속해서 구약 성경도 번역하던 중 체포되었고, 이단으로 정죄되어 화형당했다. 윌리엄 틴들은 영국의 신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직접 읽을 수 있도록 목숨을 걸고 성경을 번역했고, 그래서 후대에 사람들은 그가 번역한 성경을 “순교의 피가 묻은 성경”(The Bible in blood)이라고 불렀다.

중세 말기에 나타난 교회의 부패와 타락으로부터 교회를 회복하고 새롭게 하고자 한 16세기 교회 개혁 운동의 근본적인 정신을 한마디로 말하면, “원전(성경)으로 돌아가자”(Ad Fontes)였다. 유한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종교적인 전통이나 종교회의나 교황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기초하여 교회가 믿고 따라야 하는 교리와 신앙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신앙과 삶의 유일한 법칙이요, 최종적인 법칙으로 삼는 신앙생활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많은 믿음의 사람들이 핍박을 각오하고 순교의 피를 흘리면서까지 자국어로 성경을 번역했고, 자국어로 설교를 했던 것이다. 그 결과 16세기 종교 개혁기를 거치면서,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성경 번역과 인쇄술의 발전으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모든 신자들의 손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교 개혁기를 지나 17세기 근대가 시작된 이후 오늘날까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권위는 더욱더 큰 도전과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16세기 종교개혁 이전 중세 시대에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권위를 노골적으로 부인했던 것이 아니라, 성도들의 손에서 성경을 빼앗아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무지하게 만들었다. 대신에 종교적인 전통이나 종교회의의 결정을 성경과 동일한 권위를 가진 것으로 높여서, 신자들의 신앙과 행위에 대해 성경이 가진 유일하고도 최종적인 권위를 부인했던 것이다.

그러나 17세기에는 진리 탐구의 최종적인 권위를 인간 이성에 두는 계몽주의 사조가 일어나면서, 모든 진리는 인간 이성의 심판대 앞에 서게 되었고,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역시 인간 이성에 의해 판단을 받게 되었다. 인간 이성에 근거한 과학의 발전과 물질 문명의 발전에 매료된 근대인들은, 유한하고 불완전한 인간 이성의 힘을 무한히 신뢰하게 되면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신적 기원과 무오성은 노골적으로 부인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신자들의 신앙과 삶의 유일하고도 최종적인 법칙으로서의 성경의 권위는 심각하게 도전받게 되었다.

인간 이성의 절대성을 믿는 계몽주의적 관점에서, 성경의 권위에 대해 도전하였던 여러 주장 가운데 중요한 두 입장은, 소위 신학적 “자유주의”(Liberalism)와 “신정통주의”(Neo-Orthodox)이다. “자유주의”(Liberalism)는 인본주의 르네상스 운동이 낳은 계몽주의의 뿌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인간 이성의 빛에 비추어 비평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자유주의자들은 성경을 하나님의 무오한 계시의 말씀으로 받기보다는, 인간의 종교적 사상이나 종교적 체험에 대한 오류 가능한 인간들의 기록이라고 생각했다.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슐라이어마허”(Friedrich D. E. Schleiermacher, 1768-1834)는 종교를 인간의 “절대 의존 감정”(das schlechthinnige Abhängigkeitsgefühl)이라고 했으며, 성경은 초자연적으로 영감되었거나 무오한 것이 아니므로 진리의 궁극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인간 이성의 절대성으로 무장된 자유주의자들은, 성경을 인간의 인식 한계 안에서 비평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고, 성경의 권위를 인간 이성의 발아래로 끌어내렸다. 결국 과학에 기반한 물질문명 발전의 근거가 된 인간 이성을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현대인들은 물론, 그들에게 설득된 신학적 “자유주의”에 오염된 오늘날 신앙인들은, 더이상 성경을 무오한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으로 받지 않게 되었다. 

발체: 개혁 신보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7,38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939 신학교를 졸업했다고 해서 모두 목사가 아니다... 창암 09-02 475
5938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9-3-22) 창암 09-02 324
5937 영적 체험이 불순물로 섞일 수 있다는 것을 잘 알아야 체험을 잘 분별하여 … 창암 09-01 416
5936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9-2-22) 창암 09-01 459
5935 코로나시대의 온라인 활성화로 이단들은 자기 세상을 만났다... 창암 08-31 615
5934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9-1-22) 창암 08-31 615
5933 타투로 현실에서 탈출해 자유로운 자신을 찾고자 하는 현대인의 심리... 창암 08-30 511
5932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31-22) 창암 08-30 431
5931 목회 사역에 필요한 기술은 직접 계시가 아니라 배움과 훈련을 통해 이루어… 창암 08-29 582
5930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30-22) 창암 08-29 510
5929 사랑 같지만 결국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타협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창암 08-28 528
5928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9-22) 창암 08-28 473
5927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8-22) 창암 08-27 341
5926 심리 테스트에서 떨어지는 한국목사들... 창암 08-26 530
5925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7-22) 창암 08-26 403
5924 신조와 신앙고백서 보다 내가 해석하는 성경을 더 믿어라.. 창암 08-25 410
5923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6-22) 창암 08-25 337
5922 목사의 설교가 아니라 승려의 법어였다... 창암 08-24 508
5921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5-22) 창암 08-24 408
5920 거룩한 쓰레기는 없다.. 창암 08-23 547
5919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4-22) 창암 08-23 485
5918 과연 함께 할수 있을까? 창암 08-22 518
5917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3-22) 창암 08-22 520
5916 위기에 처한 ‘성경’...2-2 창암 08-21 618
5915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2-22) 창암 08-21 597
5914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1-22) 창암 08-20 395
5913 위기에 처한 ‘성경’...2-1 창암 08-19 512
5912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20-22) 창암 08-19 266
5911 교회들은 이 고백을 부끄러워 말아야 한다.. 창암 08-18 531
5910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9-22) 창암 08-18 333
5909 바울은 교회를 가리켜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다. 창암 08-17 516
5908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8-22) 창암 08-17 314
5907 여러갈래로 나뉘어진 기독교... 창암 08-16 426
5906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7-22) 창암 08-16 522
5905 바벨론의 관습에서 분리되라.... 창암 08-15 425
5904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6-22) 창암 08-15 367
5903 “대면 예배 전면 금지, 종교자유 침해” 창암 08-14 582
5902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5-22) 창암 08-14 510
5901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4-22) 창암 08-13 530
5900 가슴에 새기는 명언.. 창암 08-12 425
5899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3-22) 창암 08-12 321
5898 배우지 않으려면 교회에서 가르치지 마라... 창암 08-11 501
5897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2-22) 창암 08-11 381
5896 몸의 근육같은 교회의 권징... 창암 08-10 449
5895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1-22) 창암 08-10 318
5894 터질 게 터졌다... 창암 08-09 388
5893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10-22) 창암 08-09 267
5892 크리스챤이 점을 치면 안되는 이유.. 창암 08-08 563
5891 스펄젼과 함께하는 아침묵상(8-9-22) 창암 08-08 427
5890 신흥 한인 교회로 텍사스 부상... 창암 08-07 46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