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예배를 논할 때 사람들은 예배의 신학보다도 예배의 형태에 관심을 둔다. 다시 말하면 전통식인가 아니며 현대식인가? 하는 것이 논난의 쟁점이 된다. 대개 오늘의 교회는 예배에 대해서 지금 드리고 있는 예배가 성경적인가 하는 문제를 연구하지도 않은 채 다른 교회들이 모두 그렇게 하니까 우리도 그를 따른다고 하는데 이는 매우 무책임한 생각이다. 만일 다른 교회들이 성경과 다른 예배를 드리는데도 그것을 그냥 모방한다면 성직자가 성도들을 속이는 결과가 되고 그보다도 하나님이 비성경적인 예배는 받지 아니하므로 이는 성도들로 하여금 죄를 짓게 하는 결과가 된다.
그런가하면, 어떤 교회는 예배의 양식에 대해 논의를 많이 하고 있지만 참으로 예배에 대하여 바로 아는 사람은 드믄 것 같다. 이웃 교회들이 하는 형태로 따라가는 것이 고작이다. 이제 예배 신학은 현대교회에서 아주 자취를 감추어 버린 지 오래되고 교회는 마치 옛날 사사시대 모양으로 각자 소견에 옳은 대로 예배드리는 경향으로 흘러간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신에게 예배하는 사람들이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를 드리라고 가르치고 하나님이 받으시기에 합당한 예배를 드리라고 말씀 하시고 예배하는 법을 성경에 분명히 가르쳐 주셨다. 성경에 충실한 교회 일수록 예배에 각별한 신경을 쓴다. 성경에 충실하지 못할수록 예배에 관한 감각이 둔하다. 오늘 교계가 혼탁하고 성도가 말씀대로 살지 않는 것은 모두 예배를 바로 드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러 기회에 여기 저기 교회를 방문해 보면 예배 형태가 신앙고백에서 가르쳐주는 정통적 예배는 거의 없고 대개 성경의 가르침은 무시한 채 오로지 사람들의 기분에 맞게 예배를 드리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오늘의 예배풍토이다. 간혹 목사가 성경적인 예배를 드리려고 해도 그 교회에서 힘 있는(?) 제직들이 반기를 들고 이웃 교회처럼 예배하자고 하면 목사가 양보하여 성경에 어긋나는 줄 알면서도 사람들의 의견을 따라가는 교회도 많다.
바울은 갈라디아 1:10에서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에게 좋게 하랴 사람들에게 기쁨을 구하랴 내가 지금까지 사람의 기쁨을 구하는 것이 었더면 그리스도의 일꾼이 아니 니라” 라고 참다운 목회자로서의 목회 철학을 가르쳐 준다. 개인의 신앙생활도 그러하거늘 하물며 그리스도의 양무리를 주님으로부터 위임받아 책임지고 이끌어가는 목회자가 사람들의 인기에 연연하여 목회 한다면 그는 하나님의 종이 아니라 사람의 종으로 전락한 사람이다. 따라서 하나님과 맺은 계약을 파기한 사람이다. 목사가 안수 선서할 때 반드시 하나님의 말씀대로 목양할 것을 서약했는데 이를 스스로 파기했으니 하나님에게 책입질 문제이다.
신약성경에 나타난 예배를 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목사들이 알고 있는 것은 신약의 예배 양식은 유대인들의 회당의 예배를 모방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유대인들의 회당의 목적을 오해한 사람들이다. 주후 70년 예루살렘의 성전이 파괴되기 전에는 아무도 회당이 예배하는 곳이라고 생각지 않았다. 이유는 예배란 반드시 희생의 제물을 드리는 것이 필수였기 때문이다. 구약에서는 번제물이 항상 따라다녔다. 죄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유대인의 <회당, synagogue> 이라고 하는 곳은 교회학교였는데 그 목적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성전에서 예배하는 법을 가르치며 준비시키며 훈련시키는 곳이었다. 성경은 예수님과 사도들이 성전과 회당에 자주 드나들었다고 기록하지만 그곳에서 예배들 드렸다고는 말하지는 않는다.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지방 수가성을 지나가실 때, 우물가에 물을 길러 나온 여인을 만났는데 여인이 예수님에게 “예배는 그리심 산 이나 예루살렘 중 어디서 예배를 드려야 합니까?” 라고 물으실 때, 예수님께서는 <아무 회당이나 편한대로 가서 예배하라> 하시지 않고 메시야가 오시기 전에는 오직 한 군데 즉 예루살렘이었으나 그가 오신 다음에는 예배하는 장소가 변했다고 말씀 하신다 (요 4:21-23). 그 예배는 성삼위 하나님에게 드리는 경배이므로 신령과 진정으로 드릴 것을 강조하여 말씀하셨다.
사도들은 교회가 <새로운 성전> 이라고 가르쳐 준다 (고전 3:16-17; 벧전 2:5) 그리고 구약의 화목제의 의미를 성찬식에서 찾는다 (고전 10:18). 회당에서의 설교와 기도는 사도들의 예배 의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 같다. 그러나 예배에 대해서 가장 많이 언급하는 요한 계시록에 보면 예배의 형식이 성전에서의 예배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본다.
사도요한이 계시록에서 말하는 환상을 보면 모세와 솔로몬이 예배드리던 모습 그대로 이다.
1. 예배 드리려고 회집한다 (계 4:1-11) 거룩한 백성들이 모여서 하나님을 창송하며 예배드린다. 역대하 5:2-5 에 적힌 말씀과 같은 형태이다. 보좌에 앉으신 이가 있고 보좌에 둘려 24장로가 앉아 있다. 이들은 하나님에게 경배 드리기 위함이다.
2. 죄 문제를 거론하고 해결한다 (계 5:1-7) 보좌에 앉으신 이의 오른손에 책이 있는데 아무도 그 책을 펼 수 없으므로 사도 요한은 운다. 그 책에 무엇이 기록되어 있길래 요한이 우는가? 그 책에는 역사에 관한 하나님의 목적이 적혀 있다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 즉 구속사 Redemptive History 는 희생을 통해서만 계속할 수 있다. 오직 죽임당한 하나님의 어린양만이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행한 목적을 선포하기에 합당하신 분이다.
3. 하나님 전에 나아가며 기도 한다 (계 5:8) 하나님의 백성은 이제 그의 대표자인 24장로를 통해서 하나님 앞에 나아간다. 4. 찬송시를 노래한다 (계 5:9-14)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룩한 구속을 찬송하는 찬송시를 노래한다.
그리고 다음에 열거하는 네 가지는 계시록에서 5번이나 반복한다. 계시록에 보면 <일곱>이라는 숫자를 이용하여 일곱 나팔, 진노의 일곱 대접 등을 말하는데 다음과 같은 사건의 순서대로 매번 반복됨을 본다. 그 공통으로 반복되는 네 가지란 무엇인가?
5.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설교하는 일 6. 기도하는 일 7. 하늘이 제단을 태우고 영광이 성전을 채우는 일 8. 찬송시를 노래하는 일
이런 여러 가지가 요한계시록에서 어떻게 반복되어 기록되었는지 보면 조금 전에도 언급했지만 계시록의 <일곱> 이라는 숫자가 들어가는 재앙에 모두 들어있다는 것이다. 가령:
1. 계시록 6:1- 8:5 에 나타난 구절에서 일곱 인은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데 성도의 찬송과 기도로 이어지고 끝에는 하늘에서 천사가 단위의 불을 담아다가 땅위에 쏟으니 뇌성과 지진이 난다는 말로 끝난다. 즉 제단으로부터 불이 내려오는 것으로 끝난다.
2. 계시록 8:6- 11:19에 나타나는 일곱 나팔은 하나님의 말씀 여기서는 심판의 말씀을 선포하고 성도의 기도와 하늘의 성전으로부터 오는 빛과 우레 소리로 끝난다.
3. 계 12:1-15:8에 기록된 일곱 이적은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모세의 노래와 어린양의 노래, 그리고 주의 영광이 성전을 채우는 것으로 끝난다 (15:8).
4. 계 16:1-21에 기록된 일곱 대접을 보라, 역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불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사람들은 아무도 거룩한 성전에 들어갈 수 없으니 잠잠한 것으로 끝난다.
5. 계 17:1-19:5 에 나타난 바벨론의 멸망을 그리는 장면도 처음에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성도들의 찬송으로 끝난다.
6. 화목제가 계시록 19:6-10, 17-21절에 기록되었는데 두 잔치에 초대함을 본다, 첫 잔치는 성도들만을 위한 어린양의 혼인잔치 이고 둘째 초대는 하나님의 큰 잔치인데 이는 공중의 새들을 위한 (19:17) 것이다. 어린양의 혼인 잔치는 축복의 잔치이고 하나님의 큰 잔치는 저주와 심판의 잔치이다 ,끝으로
7. 계시록 20장, 21장 22장에 나타난 축도를 보라. 마귀와 마귀를 따르던 자들은 모두 저주를 받는데 반하여 그리스도의 사람들은 축복을 받는다.
한마디로 말하면 계시록은 우리가 거룩한 예배를 드리면서 살아가는 사람들로 나타내 주고 있다. 거룩한 예배가 언제 시작되었는가 하면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가 지성소에 들어간 때부터 시작되었고, 그의 마지막 심판이 올 때 끝이 난다. 그 때는 믿는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영생의 축복에 들어가게 된다. 다른 말로 말하면, 우리는 하나님이 하시는 설교를 들으면서 살아가는데 하나님은 그의 설교를 통해서 역사를 향한 그의 목적을 지금도 주의 종들을 통해서 선포하고 계시다. 이런 하나님의 말씀이 바로 선포되어지는 것이 예배이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결론
기원 2세기부터 17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모든 정통적인 교회들은 이런 형태로 이런 의미로 예배를 드렸고 그들의 예배에 관한 인식도 이와 같았다.. 종교개혁기에 들어와서는 예배에 대해서 특별한 경외감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인식으로 예배를 존중하며엄숙한 예배를 드렸다. 하나님에게 나아가 하나님과 교통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성경에서 명령하신대로 예배를 드렸다. 악기도 사용하지 않았다. 원래 예배 시에 악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칼빈도 악기를 사용하지 않았고 성경의 시편만 노래했다.
우리가 신봉하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도 제21장 <예배와 안식일에 관하여>에서 예배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시편만 노래하도록 지시 한다 a capella로 불렀다.. RTS 의 Orlando 분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John Frame 교수는 그의 책 Music in Worship 이라는 책에서 장로교가 원래의 예배는 악기를 쓰지 않고 시편 을 반주 없이 a capella로 불렀던 일을 인정하고 있다. 더 분명한 자료는 서부 Westminster 신학교 교회사 교수인 Scott Clark 가 쓴 Recovering Reformed Confession (P&R, 2008) 이라는 명저 일 것이다. 이 책에는 <예배와 음악>에 대해 어느 신학자보다 연구를 많이 한 흔적이 보인다.
그럼 언제부터 교회에서 시편만 노래하기를 중단하고 하나님 찬양에 반주를 도입하여 찬송가를 부르기 시작했는가 하는 질문이 나온다. 미국의 청교도가 1620년에 미국에 건너온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사실이다. 이들은 찬송가를 부르지 않았고 장로교 전통대로 시펀만 노래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기독교 교계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어닥쳣고 상당히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 그 이유는 18세기 중엽부터 일어난 미국의 제1차 대각성 운동 때문이다.
미국의 <제1차 대각성운동>은 1730년대부터 시작되어 그로 인하여 프린스톤대학을 세우는 좋은 면도 있지만 한편 교회 예배 면에서 보면 상당히 변질된 방향으로 흘러갔다.
대각성 운동이 일어나게 된 동기는 청교도들의 후예들 이민 2세 3세들이 신앙을 버리고 타락하여 돈벌이에만 급급하여 교회생활을 등한히 하다 보니 교회가 영적으로 침체되어 New Jersey 주 Raritan에서 목회하던 화란계 목사 Jacob Frelinghuysen 과 William Tennent 그리고 그의 아들 Gibert Tennent 등이 회개를 외쳤고, 특히 Frelinghuysen 목사는 Danger of Unconverted Ministry 라는 설교로 노방전도를 하며 목사들을 일깨웠다. 회개하지 않은 목사들의 사역의 위험성 이라는 이 설교는 도처에 퍼져 나갔고 Massachusetts 주 Northampton에서 목회하던 Jonathan Edwards 의 호응을 얻게 되었다.
뒤를 이은 Charles Finney 목사는 부흥이 아니라 부흥주의를 도입하여 처음으로 <찬송시는 너무 단조롭다> 는 이유로 흥을 부추기는 Issac Watts 의 찬송가를 많이 도입했다. 뒤를 이어 Chicago 의 Billy Sunday D.L.Moody 등도 호응하여 부흥주의를 꾀하는 목사들은 너도 나도 앞을 다투어 시편만 노래하던 옛 예배로부터 새로운 양상 즉 찬송가 가사를 별도로 쓰고 누군가가 곡을 붙인 찬송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찬송가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Isaac
Watts 는 말할 것도 없고, 미국의 Fanny Crosby 와 영국의 Charles Wesley 등이 앞을 다투어 찬송시와 찬송가를 만들어 교회에 보급했다.
물론 시편을 노래할 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 것은 사실이고 그 후에 이런 추세는 크게 유행하게 되어 교회 음악은 이로부터 찬송가 일변도로 흘러가서 오늘에는 Christian Rock and Roll 이란 이름으로 모든 요란한 악기를 동원하는 형태로 이른바 CCM 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Christian Rock 'n' Roll 이라는 말 자체가 oxymoron (모순 어법) 이다. 그런 것은 존재할 수 없다. “거룩한 쓰레기” 란 말이 존재할 수 없듯이 말이다.
오늘의 예배는 모두 사람들의 기분을 내는 것으로 만족한다. 이것은 소위 <열린 예배>라는 극히 비성경적인 예배 형태에서 절정에 이른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신학생들의 말을 들으면 어떤 열린 예배에서는 복음성가를 얼마동안 노래하고 설교는 생략한다고 하니 이것은 성경에 나오는 예배와는 아주 다른 예배형태이다. 예배에 말씀이 없으면 사람만 모여서 기분을 내다가 가는 것이요 하나님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모임으로 전락한다. 교회는 하나의 사교장으로 변해 가는 것이 오늘의 예배이다. 교회에서 성경대로 예배드리는 것을 “지루하게 생각하는 사람” 은 아직 거듭나지 못한 사람이요 이런 사람들은 아무리 <크리스챤> 이라고 자처하고 직분을 자랑해도, 결코 하나님의 사람이 아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예배를 통해서, 말씀을 통해서 하나님을 만나면 기쁘고, 떨리고, 감격해 한다. 성경의 인물들이 모두 그러하다. 절대로 “지루한 감“을 느끼지 않는다. 예배를 지루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예배는 어디까지나 <시은자 중심> 이지 절대로 <수은자 중심> 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알아 두자
오늘과 같은 배교 (apostasy)가 득세하는 이 패역한 시대에 우리들 개혁성도는 예배에 관한 바른 개념을 갖고 바로 예배드리는 성도가 되자.
(고) Dr.김명도 목사, 교수 Philadelphia Westminster 신학교졸업, M.Div. Th.M. (신약) D.Min.(변증학)미국 Los Angeles 소재칼빈신학교대학원원장. Tyndale International University 초대학장,
Address:4270 W. 6th Street, Los Angeles, California U.S.A. 90020 | Charles Hong Tel: (213)595-3181 | Fax: (213)383-5044 | drcharleshong@gmail.com Copyright (C) 2009- Yala Mission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