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기독교적 세상에서 기독교인으로 살아가기
조엘 비키 (Puritan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총장)
1. 이 세상 속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발전시킬 좋은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한 마디로 표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순종”이다. 사실 이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명령들을 지키며 살아야 할 때 유일한 방법은 순종이다. 골로새서는 여러 모양으로 이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골로새서 3:17은 모든 것을 하나님 영광을 위해 해야 한다고 권면한다.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
그리스도의 이름을 묵상하며 일을 해보라. 이것은 곧 하나님의 심부름꾼으로서 자신의 일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아버지의 영광을 구하라는 말이다. 또한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근면과 성실로 일을 해야 한다.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골 3:23). 우리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정의를 세워 나가야 한다. “상전들아 의와 공평을 종들에게 베풀지니 너희에게도 하늘에 상전이 계심을 알지어다” (골 4:1).
또한 우리는 우리의 직업을 위해 또한 같이 일하는 동료를 위해서도 기도할 필요가 있다. “기도를 계속하고 기도에 감사함으로 깨어 있으라” (골 4:2). 그뿐 아니라 말에 있어서 하나님의 진리의 영광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외인에게 대해서는 지혜로 행하여 세월을 아끼라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을 알리라” (골 4:5-6). 이 말은 같이 일하는 사람에게 매일 설교를 하라는 말이 아니다. 당신의 직장은 설교강단이 아니다. 이 말은 동료와의 대화 가운데서 지혜롭게 하나님의 말씀이 잘 드러나게 만들어 성령의 도우심으로 영적으로 부족함을 느끼는 사람들의 요구를 해갈시키라는 말이다.
2. 비기독교적 세상에서 기독교인으로 살아갈 때 “안식”은 얼마나 중요한가?
안식은 매우 중요하다. 십계명 중에 쉬는 날은 하나님이 언약 백성을 구원하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였다 (출 20:1-2). 주일을 거룩하게 지키고 참된 안식을 할 때 비로소 하나님께서 우리 시간의 주인이 되신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출 20:8-11).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자기들을 의지한 것 아니라 하나님을 인도하심을 의지하면서 살아갔다 (출 16:4-6). 우리도 믿음 안에서 이렇게 살아야 한다.
특히 요즘 같이 물질만능주의에 빠져 있는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은 맘몬주의를 경계하며 하나님이 바로 우리의 구주라는 사실과 어떠한 경제적 욕구와 출세의 욕구에 종노릇 하지 않겠노라고 다짐해야한다 (마 6:24). 하나님 안에서 우리는 영적인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사 58:13-14).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영광의 소망을 묵상할 때 참된 안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히 4:7-10).
이렇게 한번 생각해보자. 결혼 생활을 할 때 배우자를 위해 특별한 시간을 빼어 함께 그 시간을 보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만약 부부끼리 이런 시간을 갖지 않는다면 아마도 부부관계가 점점 시들해질 것이다. 만약 당신의 아내가 당신이 아닌 다른 남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고 한다면 나중에 어떤 일이 벌어지겠는가? 안식은 하나님과 함께 하는 특별한 시간이다.
만약 다른 이유로 안식의 시간을 놓쳐 버린다면 아마도 우리의 마음은 우리의 욕구가 가고자 하는데로 따라 가고 말 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