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사운동
마지막으로, 오늘날 교회들의 또 하나의 심각한 큰 문제는 은사운동이다.
은사운동의 역사와 특징
20세기 초에 시작된 방언 운동은 오순절 교파를 형성하였고, 20세기 중엽에는 기성 교회들에 영향을 주어 방언과 예언과 병고침 등 성령의 초자연적 은사들을 강조하는 소위 은사운동으로 진행되었다. 은사운동은 오늘날 복음주의적 교회들과 단체들 에서 활발하다.미국 복음주의협의회(NAE)의 회원교회들의 다수는 오순절 교회이며 벌써 여러 해 동안 그 단체의 회장은 오 순절파 목사가 맡아오고 있다. 우리 나라에도 은사운동은 오순절파 뿐만 아니라, 또한 여러 교파들에서 활발하다.
은사운동의 문제점과 평가
은사운동은 십자가 속죄의 복음과 신구약 6권의 교리적, 윤리적 말씀으로 만족치 않고, 현재의 은사 경험을 추구하고 강조하며, 실제로 은사 경험을 단순한 말씀 신앙과 순종보다 더 중시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참된 기독교의 모습이 아니다. 참 기독교의 모습은 고린도전서 1:2,23의 말씀에 잘 드러나 있다: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우리는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또한 고린도전서 13:8-12은 예언, 방언 등의 성령의 초자연적 은사들은 일시적이고 부분적이고 초보적인 성격의 것들임을 증거하였다: “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하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폐하리라. 우리가 부분적으로 알고 부분적으로 예언하니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부분적으로 하던 것이 폐하리라.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 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 것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 께서 나를 아신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특히, 은사운동은 성경이 하나님께서 마지막으로 주신 충족한 말씀이라는 사실과 배치된다. 예수께서는 부자와 나사로의 이야기에서 성경의 충족성을 다음과 같은 말로 증거하셨다: “가로되 그러면 구하노니 아버지여 나사로를 내 아버지의 집에 보내소서. 내 형제 다섯이 있으니 저희에게 증거하게 하여 저희로 이 고통 받는 곳에 오지 않게 하소서. 아브라함이 가로되 저희에게 모세와 선지자들이 있으니 그들에게 들을지니라. 가로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만일 죽은 자에게서 저희에게 가는 자가 있으면 회개하리이다. 가로되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 하였다 하시니라”(눅 16:27-31).
또한 히브리서 1:1,2 은 신약계시가 최종적이고 절정적 계시임을 증거하였다: “옛적에 선지자들로 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하나님이 이 모든 날 마지막에 아들로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 이 아들을 만유의 후사로 세우시고 또 저로 말미암아 모든 세계를 지으셨느니라.”
또한 요한계시록 2:18,19 은 성경의 종결성을 증거하기를, “내가 이 책의 예언의 말씀을 듣는 각인에게 증거하노니, 만일 누구든지 이것들 외에 더하면 하나님이 이 책에 기록된 재앙들을 그에게 더하실 터이요 만일 누구든지 이 책의 예언의 말씀에서 제하여 버리면 하나님이 이 책에 기록된 생명나무와 및 거룩한 성에 참여함을 제하여 버리시리라”고 했다.
덧붙여 은사운동의 문제점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은사운동이 감정과 육신적 만족에 호소하는 경향이 많고 록 음악 등의 세속적 요소를 사용한다는 점과, 오늘날 자유주의와 천주교회를 배제함이 없이 잘못된 교회연합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은사운동은 하나님이 주신 참된 교회의 부흥이 아니고 오히려 참된 교회에 주는 말세의 또 하나의 큰 혼란이다. 그러므로 참된 교회들은 오늘날의 은사운동을 용납하지 말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