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 바나연구소에서 미국의 55세 이상 기독교인의 영적 성장 욕구와 이러한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사람에 대한 것을 다룬 ‘Aging Well’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몇 가지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본다.
‣ 먼저 ‘나 자신의 영적 삶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물었다. 그 결과, ‘매우 중요함’ 45%, ‘어느 정도 중요함’ 42%로 미국 55세 이상 고령 개신교인 대다수(87%)는 개인의 지속적 영적 성장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미국 고령 개신교인 절반 가까이, ‘신앙적인 삶을 성도들에게 가르치는 목회자 역할’ 크게 기대하고 있어!
‣ 영적 성장을 위해 목회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까? 목회자 역할에 대한 몇 가지 진술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동의율(매우 동의)을 살펴본 결과, ‘성도들이 신앙을 나누도록 돕는 것이 목회자의 책임이다’에 58%가 매우 동의했다.
‣ 또한 ‘신앙이 있는 삶을 성도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목회자의 책임이다’ 47%도 절반 가까이 강하게 동의했다. 즉, 미국 고령 개신교인의 절반 가까이가 목회자가 성도들에게 신앙적 목적있는 삶을 가르치는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갖고 있는 셈이다.
◎ 한국 고령 개신교인 10명 중 7명, ‘영적 갈급함’ 느껴!
‣ 그렇다면 한국 고령 개신교인의 영적 욕구는 어떠할까? 한국 개신교인들 대상으로 ‘영적 갈급함’ 정도를 물은 결과, 2022년 58%, 2023년 64%로 1년 사이 6%p 상승했고, 60대 이상 고령 교인의 경우 2022년 60%, 2023년 70%로 더 크게 높아졌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한국 고령 개신교인의 영적 갈급함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 한국 고령 교인의 영적 욕구, 다른 세대보다 더 높아!
‣ 한국 개신교인에게 영적 갈급함을 어떤 방식으로 충족하고 있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기도 또는 말씀 묵상’이 6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찬양을 하거나 들음’ 54%, ‘목사님 설교 들음’ 47%, ‘성경 말씀 읽거나 필사/QT’ 36% 의 순으로 나타나 '설교'보다 '기도와 말씀 묵상'이 더 높았다.
‣ 60세 이상 노인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전체 응답자보다 선택한 비율이 높아 더 높은 영적 갈급함을 드러냈다.
발체: 목회데이터연구소